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이름' 속에 영성이 있다 78] 세례명 '리드비나(Lidwina)'에 담긴 어원과 영성은 무엇일까요?

 


네델란드를 떠올리면 흔히 풍차, 튤립의 나라라고 합니다. 그러나 거기에 빠진 것이 바로 맥주 가운데 하나인 하이네켄Heineken의 고향이기도 하고, 또한 아이스 스케이팅이 유명한 나라이기도 합니다. 오늘 우리가 만날 성녀 리드비나는 네델란드 성녀이며 스케이트와 인연이 깊은 성녀입니다. 이 성녀에 대해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네델란드는 잘 아시다시피 유럽대륙의 북서쪽에 위치합니다. 매우 추울 것이라 생각하지만 멕시코 난류의 영향으로 기후는 온화한 편이며, 습하기도 하고 강력한 서풍이 불어오기 때문에 이 바람이 풍차를 돌려 왔습니다. 특히 겨울에 습하고 으슬으슬 추운 유럽의 기후 때문에, 그리고 겨울에 영하 14~18도까지 내려가는 강추위 때문에 쉽게 냉동창고처럼 온 나라가 변화되기 쉬운 편입니다. 그래서 만약 네델란드 전역 온 도시의 운하가 얼게 되면, ‘엘프스테덴도흐트Elfstedentocht’라는 빙상대회가 열리게 됩니다. 네델란드 프리슬란트주의 강과 운하를 통해 총 11개의 도시를 일주하는 스피드 스케이팅 대회로, 18세기부터 시작된 북부 네델란드의 전통적 행사입니다. 몇 년에 한번씩 일어나는 강추위로 이곳이 천연빙상장이 되는 것입니다. 약 200Km의 코스를 끝까지 도달한 사람들에게 기념 메달을 수여하며, 대회 우승자에게는 상금과 우승컵과 함께 엄청난 대우를 받게 됩니다. 게다가 네델란드에서 스케이트는 국민 스포츠이기 때문에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스케이트를 탑니다. 그러니까 네델란드에서 스케이트를 누구나 동네마다 연령에 상관없이 타다보니, 네델란드가 세계적으로도 스케이팅 분야에서 선두를 지키고 있는 이유가 있습니다. 


오늘 만나고 있는 리드비나 성녀(1380-1433)도 네델란드 스히담 출생의 소녀입니다. 그래서 그녀의 이름의 어원에는 네델란드어/고대독일어의 발자취가 남아 있습니다. 원래 영어식 표기인 리드비나Lidwina는 네델란드어/독일어의 루드비나Ludwina의 변화형입니다. 이는 다시 남성형인 루드빈Ludwin으로 되돌아가야 합니다. 그리고 이 루드빈은 로이트빈Leutwin이라는 독일어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로이트Leut는 “사람들”이라는 뜻이고, 빈win은 “친구”라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리드비나/루드비나’라는 세례명의 뜻은, 곧 “사람들에게 영적으로 친절하게 다가가는 벗이 되는 여인”이라는 뜻이 됩니다. 특별히 성녀 리드비나가 겪었던 생애와 기적들을 살펴보면, 그녀가 어떤 차원에서 사람들에게 ‘영적인 벗’이 되었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볼 수 있습니다.


성녀 리드비나는 16세가 되던 어느 겨울에 또래 여자아이들과 함께 얼음 위에서 스케이트를 타다가 넘어졌습니다. 갈비뼈가 부러졌고, 들것에 실려서 집에 옮겨질 정도로 크게 부상을 당했습니다. 그렇게 된 이후부터 계속해서 침대에 누워서 지내게 되었는데, 몸의 일부가 굳어지고 마비가 시작되었으며, 상처 부위가 덧나서 썩어 들어가는 등의 이루 말할 수 없을 만큼의 고통이 시작되었습니다. 


이후에 그녀는 한 번도 완쾌된 적이 없었다고 합니다. 그런 가운데 그녀는 대부분의 자신의 시간을 기도하고 묵상하는 것으로, 자신의 고통을 하느님게 봉헌하는 것으로 보내게 되었습니다. 때로는 성인들의 위로를 받거나 천국과 지옥을 환시로 보기도 하였습니다. 


그녀의 머리 위에 성광이 나타난 기적도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수많은 사람들이 그녀를 찾기도 하였습니다. 처음에는 그녀도 자신의 질병 때문에 계속해서 울기만 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점점 자신의 고통을 받아들일 자세가 생기게 되었고, 그런 고통이 이제 자신이 하느님으로부터 특별한 신적 사랑을 받는 증거라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주님께 무한한 신뢰를 드리며, 죄인들을 위한 희생과 보속의 고통을 봉헌하기에 여념이 없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불굴의 성녀로 기억되었던 것입니다.


네델란드 스히담Schiedam의 리드비나 성녀는 53세에 선종하였는데, 끊임없는 단식과 자신의 신비체험을 사람들에게 들려주었다고 합니다. 1859년에 스히담에 그녀의 이름을 딴 성당에 세워졌고, 1890년에 레오 13세 교황은 그녀를 시성하였습니다. 이후에 그녀는 빙상인들의 주보성인이며, 만성질환으로 인해 고통받는 이들의 주보로 기억되며 공경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녀는 평생 로마서 12장 1절의 말씀을 몸소 보여준 성녀였습니다. “여러분의 몸을 하느님 마음에 드는 거룩한 산 제물로 바치십시오. 이것이 바로 여러분이 드려야 하는 합당한 예배입니다.” 거룩한 산 제물이 되는 소명, 평생 십자가를 지고서 그리스도의 수난에 참여하는 부르심을 살아간 특별한 영혼이었습니다. 수많은 죄인들을 위한 고통의 봉헌으로 하느님의 자비를 간구하였던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녀를 보고서라도 우리는 어떤 경우라도 포기해서는 안 된다는 교훈을 얻습니다. 하느님께서는 결코 포기하시지 않는데, 우리가 먼저 포기하고 실망하지 않습니까? 하느님께서는 질병과 재난마저도 은총의 현관으로 쓰실 수 있는 전능하신 분이신데, 우리는 우리 자신을 무능하다고 학대하고 있지 않습니까? 우리 자신의 문제에 매몰되어 사는 신앙인이 되지 맙시다. 오히려 리드비나처럼 고통 받는 사람들, 포기하는 사람들의 ‘영적인 벗’으로 살아가는 소명을 이루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합시다. 그것이 리드비나를 세레명으로 삼는 이들이 놓치지 말아야 하는 생명의 끈입니다. 


“만약에 내가 성모송을 단 한번만이라도 바쳐 치유된다고 하더라도, 

나는 결코 그렇게 하지 않을 것입니다.”

<성녀 리드비나>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이름' 속에 '영성'이 있다 38] 세례명 '소피아' (Sophia)에는 어떤 의미가 담겨져 있을까요?

프랑스 여배우 소피 마르소 제가 어린 시절에 문방구에 가서 물건을 살 때면, 항상 저보다 더 나이가 많았던 형들이 그 문방구에서 옆의 소피 마르소의 사진으로 코팅이 된 책받침을 많이 사가는 것을 본 기억이 있습니다. 그만큼 미모가 출중하고 많은 이들의 여신으로 추앙받을 만하였기 때문이겠지요. 옆의 사진이 근래의 사진이라고 하며, 어린 시절의 전설의 사진들을 검색하여 보면, 지금 여느 아이돌을 능가할 정도의 미모를 가진 여인으로 나타납니다. 정말로 대단한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배우이기도 합니다.  그녀의 이름을 프랑스어로 표기하면 Sophie Marceau가 됩니다. 프랑스어식 발음으로 '소퓌 마~르소'가 되겠구요. 특별히 그녀의 이름인 이 'Sophie'는 서양에서는 아주 많은 이름이고, 이것은 우리가 살펴볼 '소피아'의 프랑스어식 변형이라는 점을 알아두면 흥미롭습니다. 그리고 동일한 의미를 지니는 이 이름은, 영어로는 Sophie라고 해서 불어식을 거의 그대로 이어받고, 그리스어나 독일어에서는 Sophia라고 하며, 그리고 러시아어 등의 슬라브어 계열에서는 Sofia 혹은 Sonia(소냐)라고 합니다. 그래서 슬라브계열의 여성 이름들 가운데 소냐가 많은 경우가 있는데, 이 'Sonia(Sonya)', 즉 '소냐'라는 이름은 모두가 Sophia, 즉 소피아라는 이름의 변형이라는 점을 알아두는 것도 흥미로울 것입니다. 그럼 이 소피아 혹은 소냐라는 이름이 지니는 뜻은 무엇일까요? 원래 이 이름은 그리스에서 기원한 것입니다.  Σοφια (Greek)라고 하는 여성명사에서 기원이 되었는데, '소피아'라고 읽고 그 뜻은 '지혜' (智慧,wisdom)입니다. 원래 이 소피아라는 말은 고대 그리스철학에서 자주 등장하던 단어입니다.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파르메니데스 등 고대 그리스철학자들이 그렇게 갈구하던 단어이고, 서로 저마다 자

['이름' 속에 '영성'이 있다 29] 세례명 '율리오/율리아' 혹은 '율리안나 (율리아나)'에는 어떤 뜻이 숨어있는 것일까요?

루카복음 20장 25절의 말씀은 다음과 같습니다. 루카복음 20장 25절 말씀 형상화 "카이사라의 것은 카이사르에게, 하느님의 것은 하느님에게" 이것은 바칠 것이 있다면 그 원래의 주인에게 '되돌려드리는' 정신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더 나아가 당시 세금논쟁을 예수님과 벌이고자 하였던 로마 사람들에게 주님께서는 사실 그 카이사르의 것도 주님의 것이기는 하지만, 카이사르가 가져야할 몫을 부정하지는 않으신 것입니다. 그래서 그리스도인의 사회적 의무에 대해 긍정하면서도, 궁극적으로 신앙적으로는 모든 것을 하느님께 도로 바치는 마음가짐이 요구된다는 점을 부각시킬 때에 많이 회자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아주 흥미로운 이름이 하나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로마 공화정 시대에 실존했던 '율리우스 카이사르'입니다. 이 '카이사르'라는 말은 로마 시대의 통치자, 황제를 지칭하는 호칭이었기에, 그 이름을 지닌 사람에게는 막강한 권력이 주어져 있었던 것입니다.  더욱 흥미로운 사실은 바로 이 '율리우스(Julius)'라는 라틴어로 된 남성의 이름입니다. 원래 그리스 신화에서 최고신은 바로 제우스 (Zeus) 신입니다. 그리고 로마신화로 넘어오면, 그 신은 바로 주피터 신(Jupiter)이 됩니다. 그래서 '율리우스(Julius)'라는 이름은 바로 이 신중의 신, 왕중의 왕인 주피터 신에게 자신을 봉헌한, 자신의 모든 것을 도로 바친 남성을 두고 '율리우스'라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런 여성의 이름을 바로 율리안나(율리아나, 쥴리엔, Julien)으로 표기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로마의 최고신인 '주피터' 신에게 자신의 모든 것을 도로 바친 사람으로서, 로마공화정의 최고의 통치자로 역할을 하였던 사람입니다. 또한 반대로 '주피터' 신이 그를 통해 모든 권능을 부여한 사람

['이름' 속에 '영성'이 있다 11] 세례명 '글라라'에는 어떤 뜻이 담겨져 있을까요?

아씨시 성녀 글라라 대성당 지하에 모셔진 글라라 성녀 유해 앞에서 프란치스코란 이름의 영성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그래서 그 이름 안에는 '자유'가 숨어있다는 사실을 잘 알았습니다. 그렇다면, 프란치스코와 항상 함께 등장하는 이름이 바로 '글라라'입니다. 아씨시의 성녀 글라라, 성 글라라 봉쇄수도원의 창립자, 전세계에서 가장 큰 여성봉쇄수도원을 지칭하는 성 글라라 수도원의 최초의 영적 어머니, 이 글라라란 이름의 뜻은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란치스코도 그러했듯이, 글라라라는 이름도 라틴어에서 유래하였습니다. 두 사람 모두 12~13세기 중세의 인물이었기 때문에, 구약의 히브리어나 신약의 그리스어가 아닌 대중적인 라틴어로부터 이름을 따왔던 것입니다. 라틴어로 보면, 이 글라라는 철자가 Clara입니다. 이는 남성형용사 Clarus의 여성형입니다. 그래서 Clara입니다. 다시 이 형용사의 뜻을 살펴보면, 'transparent, clear"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 라틴어 Clara가 스페인어로 와서는 그대로 Clara라고 표기합니다. 그리고 재미있는 것이 계란의 흰자 부분을 두고 'clara'라고 표현한다고 합니다. 투명함이 백색으로도 이어지는 것입니다. 이태리어로는 Chiara (끼아라), 프랑스어로는 Clare (끌레르), 영어로 Clare (클레어)로 표기하고 발음합니다. 독일어로는 Klara라고 하고, 참고로 독일어에서는 '설명'이라는 명사가 Erklärung이라고 하여서, 상대를 두고 명료하게 만드는 것을 두고 '설명'이라고 정의하는 독일어식 뉘앙스를 느낄 수 있습니다.  현대의 국문표준법상, 우리나라의 첫 음절은 ㅋ, ㅌ, ㅍ 등은 그보다 약한 소리인 ㄱ, ㄷ, ㅂ로 표기하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원래는 '클라라'가 되겠지만, 한국표준법에 따라서 '글라라'가 됩니다. 같은 경우로 Petr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