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이름' 속에 '영성'이 있다 72] 세례명 '가밀로(Camillo)'에 담긴 뜻은 무엇일까요?

 

코로나19로 전세계가 팬데믹(Pandemic)으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최근 들리는 뉴스에서는 인도에서는 말로 다할 수 없는 생지옥을 맞이하고 있다고 하였고, 가난하고 어려운 지역에서도 여러 가지 의료여건이 맞지 않아서 제대로 산소치료 등의 보존치료를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그 어느 때보다도 환자를 자기 몸처럼 아끼려는 의료진들이 더 절실하게 소중한 시절이며, 그들이 맞서고 있는 의료현장의 싸움의 피땀이 얼마나 소중한지 다시금 잊지 말아야 하는 이 때입니다.

코로나19가 터지자 우리의 관심은 인류의 전염병 역사에 주목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16세기 유럽에 퍼진 페스트(흑사병)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소설가 알베르 까뮈의 '페스트'가 다시 서점가에서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고 들었습니다. 소설의 내용은 제2차 세계대전이 있었던 1940년대의 이야기이지만, 흑사병이 타락한 인류에 대한 하느님의 징벌이라고 주장하는 판느루(Paneloux) 신부와 그 주변 인물들이 전인류적 재난 앞에서 인간은 어떤 선택을 하는지를 보여주는 재난소설의 하나입니다. 과연 인간은 어떤 선택을 해야 마땅할까요?

여기에 실제로 흑사병을 마주한 한 이탈리아 성인이 있습니다. 그의 이름은 '가밀로 데 렐리스'(Camillus de Lellis)입니다. 이 성인이 지닌 이름인 '가밀로'라는 이름 속에 담겨진 하느님의 계획에 대하여 살펴보면서 오늘날 코로나19로 고통받고 있는 모든 이들을 위한 성인의 전구를 청해야 하겠습니다.

이 '가밀로/카밀루스'(Camillus)라는 이름은 원래가 로마시대의 성(姓, family name)에 해당됩니다. 이의 여성형은 '가밀라/카밀라'(Camilla)라고 합니다. 이 말의 기원은 구체적으로 적시되어 있지 않지만, 유력한 가설로는 로마 시대에 '사제를 돕는 조수/보조'라는 뜻을 지닌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가밀로'라는 이름 안에는 이미 '남을 돕는 사람'이라는 이름의 뜻이 담겨 있는 것이고, 이런 영적 특징이 한 가족의 이름인 성(姓, family name)으로 표현되었던 것입니다.

가밀로 성인은 자신의 어머니가 가밀라(Camilla)였습니다. 아마도 어머니의 성을 따랐을 것입니다. 어머니는 ㅏ참으로 기묘하게도 나이가 50인데 미사참례 중에 산통을 느껴서 집에 들어오자마자, 한때 마굿간으로 썼던 방에서 한 아기를 출산하였습니다. 가밀라는 예수님의 탄생과 성 프란치스코의 탄생을 따라하기 위해 그렇게 낳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가밀라는 가밀로 성인이 13세가 되던 해에 그만 세상을 떠납니다.

18세가 되던 해부터 가밀로 성인은 자신의 아버지와 함께 군복무에 몸을 담게 됩니다. 폭력적인 삶을 살았고 무질서한 삶을 살았으며 도박과 노름을 청소년 시절부터 동경하였습니다. 말다툼에 자주 휩싸였고, 급기야는 결투를 신청하여 싸우는 일이 빈번하였습니다. 

하루는 도박에서 모든 것을 잃고 만프레도니아(Manfredonia)의 성 도미니코 성당 앞을 지나갈 때에 애긍을 청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거기 있던 카푸친 수도원의 일꾼으로 일해보지 않겠냐는 제안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그를 산 죠반니 로톤도의 수도원으로 보냈습니다. 거기의 수도원장인 안젤로 신부님은 가밀로에게 간단하면서도 명료하게 하느님에 대하여 그리고 영혼구원의 필요성에 대하여 이야기하였습니다. 그래서 가밀로는 자신의 삶을 완전히 바꿀 회개의 결심을 하기로 결단하였습니다.

그렇게 회개의 결심을 한 이후에는 어떤 소죄도 고의로 범죄하지 않으려고 하였습니다. 그는 먼저 자신도 카푸친 프란치스칸이 되기 위해 두 번이나 수도회에 입회하였으나, 자신의 발에 있는 궤양같은 상처를 자꾸 수도복이 자극하였기 때문에 자신이 프란치스칸이 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제 로마의 산 쟈코모 병원에 있는 환우들을 돕는 것이 주님을 섬기는 것과 같다고 결심하고 그 때부터 병원의 환우들을 돕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래서 후에는 이런 이상을 품은 남자수도자들의 수도회를 창설하게 되었고 그것이 가밀로회(Ordo Sancti Camilli, O.S.C.)가 되었습니다. 

당시 페스트가 유행하던 때였기에 아무도 선뜻 환우들을 돌보려고 나서지 않았습니다. 환우들은 좋은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이들이었거나 정부 당국으로부터 범죄혐의로 영장이 발부된 이들이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무관심 속에서 환우들이 죽어갔습니다. 지금처럼 시신을 기다릴 틈도 없이 침대를 비워줘야 하는 비참한 상황이 빈번했습니다. 

1584년에 사제품을 받은 가밀로는 1586년 교황 식스토 5세로부터 새로운 수도회 창설을 인준받았고, 이듬해에 수도복 위에 적십자를 새겨 넣을 수 있는 특권을 받았습니다. 이는 사랑의 불 또는 그리스도의 보혈을 상징하는 것입니다. 그의 고해사제는 필립보 네리 성인이었는데, 필립보 성인이 환우들을 돌보는 수도회 창설을 권유했습니다. 

환우들을 돌보느라 다른 겨를이 없을 무렵, 한번은 어느 추기경이 병원에 가밀로 성인을 만나러 찾아왔습니다. 그의 동료 수사가 이 소식을 전해주었을 때에 가밀로 성인은 이렇게 대답했다고 합니다. "추기경님께 말씀을 잘 전해주세요. 추기경님께서 인내심을 가지셔야 한다고 말입니다. 왜냐하면 저는 지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하고 있어 바쁘기 때문입니다."

환우들을 향한 사랑이 곧 그리스도 예수님을 품안에서 돌보는 듯한 사랑으로 동일시되었습니다. 가밀로 성인은 동료 수사들에게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아픈 이들을 가장한 최대한의 정성과 부지런함으로 섬기십시오. 자신의 유일한 아픈 아들을 돌보는 어머니의 사랑으로, 그리스도의 인성처럼 가난한 이를 돌보면서 섬기십시오."

가밀로라는 이름처럼 주님의 말씀대로 다른 이들을 돕고 돌보는데 헌신적이었던 이 성인의 삶은 다음의 성경 말씀을 그대로 실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가 내 형제들인 이 가장 작은 이들 가운데 한 사람에게 해 준 것이 바로 나에게 해 준 것이다.’(마태 25,40)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이름' 속에 '영성'이 있다 38] 세례명 '소피아' (Sophia)에는 어떤 의미가 담겨져 있을까요?

프랑스 여배우 소피 마르소 제가 어린 시절에 문방구에 가서 물건을 살 때면, 항상 저보다 더 나이가 많았던 형들이 그 문방구에서 옆의 소피 마르소의 사진으로 코팅이 된 책받침을 많이 사가는 것을 본 기억이 있습니다. 그만큼 미모가 출중하고 많은 이들의 여신으로 추앙받을 만하였기 때문이겠지요. 옆의 사진이 근래의 사진이라고 하며, 어린 시절의 전설의 사진들을 검색하여 보면, 지금 여느 아이돌을 능가할 정도의 미모를 가진 여인으로 나타납니다. 정말로 대단한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배우이기도 합니다.  그녀의 이름을 프랑스어로 표기하면 Sophie Marceau가 됩니다. 프랑스어식 발음으로 '소퓌 마~르소'가 되겠구요. 특별히 그녀의 이름인 이 'Sophie'는 서양에서는 아주 많은 이름이고, 이것은 우리가 살펴볼 '소피아'의 프랑스어식 변형이라는 점을 알아두면 흥미롭습니다. 그리고 동일한 의미를 지니는 이 이름은, 영어로는 Sophie라고 해서 불어식을 거의 그대로 이어받고, 그리스어나 독일어에서는 Sophia라고 하며, 그리고 러시아어 등의 슬라브어 계열에서는 Sofia 혹은 Sonia(소냐)라고 합니다. 그래서 슬라브계열의 여성 이름들 가운데 소냐가 많은 경우가 있는데, 이 'Sonia(Sonya)', 즉 '소냐'라는 이름은 모두가 Sophia, 즉 소피아라는 이름의 변형이라는 점을 알아두는 것도 흥미로울 것입니다. 그럼 이 소피아 혹은 소냐라는 이름이 지니는 뜻은 무엇일까요? 원래 이 이름은 그리스에서 기원한 것입니다.  Σοφια (Greek)라고 하는 여성명사에서 기원이 되었는데, '소피아'라고 읽고 그 뜻은 '지혜' (智慧,wisdom)입니다. 원래 이 소피아라는 말은 고대 그리스철학에서 자주 등장하던 단어입니다.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파르메니데스 등 고대 그리스철학자들이 그렇게 갈구하던 단어이고, 서로 저마다 자

['이름' 속에 '영성'이 있다 29] 세례명 '율리오/율리아' 혹은 '율리안나 (율리아나)'에는 어떤 뜻이 숨어있는 것일까요?

루카복음 20장 25절의 말씀은 다음과 같습니다. 루카복음 20장 25절 말씀 형상화 "카이사라의 것은 카이사르에게, 하느님의 것은 하느님에게" 이것은 바칠 것이 있다면 그 원래의 주인에게 '되돌려드리는' 정신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더 나아가 당시 세금논쟁을 예수님과 벌이고자 하였던 로마 사람들에게 주님께서는 사실 그 카이사르의 것도 주님의 것이기는 하지만, 카이사르가 가져야할 몫을 부정하지는 않으신 것입니다. 그래서 그리스도인의 사회적 의무에 대해 긍정하면서도, 궁극적으로 신앙적으로는 모든 것을 하느님께 도로 바치는 마음가짐이 요구된다는 점을 부각시킬 때에 많이 회자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아주 흥미로운 이름이 하나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로마 공화정 시대에 실존했던 '율리우스 카이사르'입니다. 이 '카이사르'라는 말은 로마 시대의 통치자, 황제를 지칭하는 호칭이었기에, 그 이름을 지닌 사람에게는 막강한 권력이 주어져 있었던 것입니다.  더욱 흥미로운 사실은 바로 이 '율리우스(Julius)'라는 라틴어로 된 남성의 이름입니다. 원래 그리스 신화에서 최고신은 바로 제우스 (Zeus) 신입니다. 그리고 로마신화로 넘어오면, 그 신은 바로 주피터 신(Jupiter)이 됩니다. 그래서 '율리우스(Julius)'라는 이름은 바로 이 신중의 신, 왕중의 왕인 주피터 신에게 자신을 봉헌한, 자신의 모든 것을 도로 바친 남성을 두고 '율리우스'라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런 여성의 이름을 바로 율리안나(율리아나, 쥴리엔, Julien)으로 표기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로마의 최고신인 '주피터' 신에게 자신의 모든 것을 도로 바친 사람으로서, 로마공화정의 최고의 통치자로 역할을 하였던 사람입니다. 또한 반대로 '주피터' 신이 그를 통해 모든 권능을 부여한 사람

['이름' 속에 '영성'이 있다 11] 세례명 '글라라'에는 어떤 뜻이 담겨져 있을까요?

아씨시 성녀 글라라 대성당 지하에 모셔진 글라라 성녀 유해 앞에서 프란치스코란 이름의 영성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그래서 그 이름 안에는 '자유'가 숨어있다는 사실을 잘 알았습니다. 그렇다면, 프란치스코와 항상 함께 등장하는 이름이 바로 '글라라'입니다. 아씨시의 성녀 글라라, 성 글라라 봉쇄수도원의 창립자, 전세계에서 가장 큰 여성봉쇄수도원을 지칭하는 성 글라라 수도원의 최초의 영적 어머니, 이 글라라란 이름의 뜻은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란치스코도 그러했듯이, 글라라라는 이름도 라틴어에서 유래하였습니다. 두 사람 모두 12~13세기 중세의 인물이었기 때문에, 구약의 히브리어나 신약의 그리스어가 아닌 대중적인 라틴어로부터 이름을 따왔던 것입니다. 라틴어로 보면, 이 글라라는 철자가 Clara입니다. 이는 남성형용사 Clarus의 여성형입니다. 그래서 Clara입니다. 다시 이 형용사의 뜻을 살펴보면, 'transparent, clear"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 라틴어 Clara가 스페인어로 와서는 그대로 Clara라고 표기합니다. 그리고 재미있는 것이 계란의 흰자 부분을 두고 'clara'라고 표현한다고 합니다. 투명함이 백색으로도 이어지는 것입니다. 이태리어로는 Chiara (끼아라), 프랑스어로는 Clare (끌레르), 영어로 Clare (클레어)로 표기하고 발음합니다. 독일어로는 Klara라고 하고, 참고로 독일어에서는 '설명'이라는 명사가 Erklärung이라고 하여서, 상대를 두고 명료하게 만드는 것을 두고 '설명'이라고 정의하는 독일어식 뉘앙스를 느낄 수 있습니다.  현대의 국문표준법상, 우리나라의 첫 음절은 ㅋ, ㅌ, ㅍ 등은 그보다 약한 소리인 ㄱ, ㄷ, ㅂ로 표기하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원래는 '클라라'가 되겠지만, 한국표준법에 따라서 '글라라'가 됩니다. 같은 경우로 Petr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