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누구나 사랑받기 위하여 2] 불안


우리 인간 마음에 있어 가장 큰 위협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스트레스입니다. 그럼 왜 스트레스가 생기는 것일까요? 그것은 바로 내일을 모른다는 불확실성입니다. 이를 다른 말로 표현하면 '불안'(Anxiety)이고, 이 불안함 때문에 스트레스가 오는 것입니다. 인간은 내일 일어날 일을 모른다는 그 불안함 때문에 마음에 극심한 스트레스, 습관적인 근심걱정을 느끼는 것입니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내일 죽음이 닥칠 지도 모른다는 그런 '무'(nothing)에 대한 공포가 엄습할 때, 우리의 마음과 뇌는 더 이상 기쁨과 희망을 바라볼 수 없게 됩니다. 더욱 더 불안의 깊은 수렁 속으로 빠져들 수 밖에 없습니다. 

인간이 이렇게 불안 속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으면서, 더욱이 죄악의 굴레 속에서 갖혀 있는데, 자비의 마음을 간직한 아버지 하느님께서 그냥 이것을 외면하시겠습니까? 그래서 입당송에서 이렇게 시편저자는 말합니다.

시편 55(54),17-20.23 참조
주님께 부르짖으면, 그분은 내 목소리 들으시고, 많은 사람들이 대적하여도 나를 구하시리라. 너의 근심 걱정 주님께 맡겨라. 그분이 너를 붙들어 주시리라.

불안은 그래서 우리 인간에게 있어서 가장 큰 근본적인 한계입니다. 또한 동시에 이런 불안을 하느님과의 대화, 즉 기도에 초점을 맞추고 그분의 마음을 헤아리려고 최선을 노력을 다한다면, 또다른 기회가 될 가능성도 충분히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인간의 불안과 하느님의 평안 가운데 어느 길을 선택할 것인지 제1독서의 신명기에서는 이렇게 가르치고 있습니다.

신명 30,19
나는 오늘 하늘과 땅을 증인으로 세우고,
생명과 죽음, 축복과 저주를 너희 앞에 내놓았다.
너희와 너희 후손이 살려면 생명을 선택해야 한다.

우리는 죽음의 불안을 늘 느끼고 사는 인간이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언제나 하느님께서 생명의 길로 인도하시고자 축복하시면서, 그런 하느님의 마음에 순종하기를 바라시는 것입니다. 우리가 충만한 생명력을 누리고 기쁘게 살아가려면, 신앙적인 방법은 오로지 "주 너희 하느님을 사랑하고 그분의 말씀을 들으며 그분께 매달려야" (신명 30,20) 하는 길 이외에 다른 지혜는 없는 것입니다. 불안을 회피하지 않고 오히려 불안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예수님께서는 루카복음에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루카 9,23-24 
누구든지 내 뒤를 따라오려면, 자신을 버리고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라야 한다. 정녕 자기 목숨을 구하려는 사람은 목숨을 잃을 것이고, 나 때문에 자기 목숨을 잃는 그 사람은 목숨을 구할 것이다.
자신을 버리라는 말씀을 두고, 자기현실을 완전히 부정하는 것으로 알아듣기 쉽습니다. 또한 십자가를 지라는 것도 모든 역경과 고난을 자의든 타의든 감당해야 한다는 식으로 알아듣기 쉽습니다. 일면 그런 해석도 타당할 것입니다. 그렇지만 더 깊이 생각해 본다면, 우리 존재의 불안에서 출발하면서, 하느님의 평안으로 옮아가는 그런 긍정적 희망의 목표를 위해서는 원치 않는 고통도 따를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리하여 정녕 십자가 고통을 지더라도, 그로 인해 우리 마음에 벅차오르는 그분의 사랑과 평안을 헤아릴 길이 없을 것입니다. 평안함은 불안함을 덮은 채로 올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불안한 현존재 인간으로부터 출발할 때 비로소 가능한 것이 됩니다. 그리하여 하느님의 평안으로 나아가려고 분투하는 이에게 주님께서는 더 큰 축복을 주실 것입니다.

"여러분이 짊어지고 있는 이 세상 근심과 걱정 때문에 주님을 잊지 않도록 하시고, 
그분의 계명을 멀리하지 않도록 하십시오." 

- 백성의 지도자들에게 보낸 편지(아씨시의 성 프란치스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이름' 속에 '영성'이 있다 38] 세례명 '소피아' (Sophia)에는 어떤 의미가 담겨져 있을까요?

프랑스 여배우 소피 마르소 제가 어린 시절에 문방구에 가서 물건을 살 때면, 항상 저보다 더 나이가 많았던 형들이 그 문방구에서 옆의 소피 마르소의 사진으로 코팅이 된 책받침을 많이 사가는 것을 본 기억이 있습니다. 그만큼 미모가 출중하고 많은 이들의 여신으로 추앙받을 만하였기 때문이겠지요. 옆의 사진이 근래의 사진이라고 하며, 어린 시절의 전설의 사진들을 검색하여 보면, 지금 여느 아이돌을 능가할 정도의 미모를 가진 여인으로 나타납니다. 정말로 대단한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배우이기도 합니다.  그녀의 이름을 프랑스어로 표기하면 Sophie Marceau가 됩니다. 프랑스어식 발음으로 '소퓌 마~르소'가 되겠구요. 특별히 그녀의 이름인 이 'Sophie'는 서양에서는 아주 많은 이름이고, 이것은 우리가 살펴볼 '소피아'의 프랑스어식 변형이라는 점을 알아두면 흥미롭습니다. 그리고 동일한 의미를 지니는 이 이름은, 영어로는 Sophie라고 해서 불어식을 거의 그대로 이어받고, 그리스어나 독일어에서는 Sophia라고 하며, 그리고 러시아어 등의 슬라브어 계열에서는 Sofia 혹은 Sonia(소냐)라고 합니다. 그래서 슬라브계열의 여성 이름들 가운데 소냐가 많은 경우가 있는데, 이 'Sonia(Sonya)', 즉 '소냐'라는 이름은 모두가 Sophia, 즉 소피아라는 이름의 변형이라는 점을 알아두는 것도 흥미로울 것입니다. 그럼 이 소피아 혹은 소냐라는 이름이 지니는 뜻은 무엇일까요? 원래 이 이름은 그리스에서 기원한 것입니다.  Σοφια (Greek)라고 하는 여성명사에서 기원이 되었는데, '소피아'라고 읽고 그 뜻은 '지혜' (智慧,wisdom)입니다. 원래 이 소피아라는 말은 고대 그리스철학에서 자주 등장하던 단어입니다.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파르메니데스 등 고대 그리스철학자들이 그렇게 갈구하던 단어이고, 서로 저마다 자

['이름' 속에 '영성'이 있다 29] 세례명 '율리오/율리아' 혹은 '율리안나 (율리아나)'에는 어떤 뜻이 숨어있는 것일까요?

루카복음 20장 25절의 말씀은 다음과 같습니다. 루카복음 20장 25절 말씀 형상화 "카이사라의 것은 카이사르에게, 하느님의 것은 하느님에게" 이것은 바칠 것이 있다면 그 원래의 주인에게 '되돌려드리는' 정신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더 나아가 당시 세금논쟁을 예수님과 벌이고자 하였던 로마 사람들에게 주님께서는 사실 그 카이사르의 것도 주님의 것이기는 하지만, 카이사르가 가져야할 몫을 부정하지는 않으신 것입니다. 그래서 그리스도인의 사회적 의무에 대해 긍정하면서도, 궁극적으로 신앙적으로는 모든 것을 하느님께 도로 바치는 마음가짐이 요구된다는 점을 부각시킬 때에 많이 회자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아주 흥미로운 이름이 하나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로마 공화정 시대에 실존했던 '율리우스 카이사르'입니다. 이 '카이사르'라는 말은 로마 시대의 통치자, 황제를 지칭하는 호칭이었기에, 그 이름을 지닌 사람에게는 막강한 권력이 주어져 있었던 것입니다.  더욱 흥미로운 사실은 바로 이 '율리우스(Julius)'라는 라틴어로 된 남성의 이름입니다. 원래 그리스 신화에서 최고신은 바로 제우스 (Zeus) 신입니다. 그리고 로마신화로 넘어오면, 그 신은 바로 주피터 신(Jupiter)이 됩니다. 그래서 '율리우스(Julius)'라는 이름은 바로 이 신중의 신, 왕중의 왕인 주피터 신에게 자신을 봉헌한, 자신의 모든 것을 도로 바친 남성을 두고 '율리우스'라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런 여성의 이름을 바로 율리안나(율리아나, 쥴리엔, Julien)으로 표기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로마의 최고신인 '주피터' 신에게 자신의 모든 것을 도로 바친 사람으로서, 로마공화정의 최고의 통치자로 역할을 하였던 사람입니다. 또한 반대로 '주피터' 신이 그를 통해 모든 권능을 부여한 사람

['이름' 속에 '영성'이 있다 11] 세례명 '글라라'에는 어떤 뜻이 담겨져 있을까요?

아씨시 성녀 글라라 대성당 지하에 모셔진 글라라 성녀 유해 앞에서 프란치스코란 이름의 영성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그래서 그 이름 안에는 '자유'가 숨어있다는 사실을 잘 알았습니다. 그렇다면, 프란치스코와 항상 함께 등장하는 이름이 바로 '글라라'입니다. 아씨시의 성녀 글라라, 성 글라라 봉쇄수도원의 창립자, 전세계에서 가장 큰 여성봉쇄수도원을 지칭하는 성 글라라 수도원의 최초의 영적 어머니, 이 글라라란 이름의 뜻은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란치스코도 그러했듯이, 글라라라는 이름도 라틴어에서 유래하였습니다. 두 사람 모두 12~13세기 중세의 인물이었기 때문에, 구약의 히브리어나 신약의 그리스어가 아닌 대중적인 라틴어로부터 이름을 따왔던 것입니다. 라틴어로 보면, 이 글라라는 철자가 Clara입니다. 이는 남성형용사 Clarus의 여성형입니다. 그래서 Clara입니다. 다시 이 형용사의 뜻을 살펴보면, 'transparent, clear"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 라틴어 Clara가 스페인어로 와서는 그대로 Clara라고 표기합니다. 그리고 재미있는 것이 계란의 흰자 부분을 두고 'clara'라고 표현한다고 합니다. 투명함이 백색으로도 이어지는 것입니다. 이태리어로는 Chiara (끼아라), 프랑스어로는 Clare (끌레르), 영어로 Clare (클레어)로 표기하고 발음합니다. 독일어로는 Klara라고 하고, 참고로 독일어에서는 '설명'이라는 명사가 Erklärung이라고 하여서, 상대를 두고 명료하게 만드는 것을 두고 '설명'이라고 정의하는 독일어식 뉘앙스를 느낄 수 있습니다.  현대의 국문표준법상, 우리나라의 첫 음절은 ㅋ, ㅌ, ㅍ 등은 그보다 약한 소리인 ㄱ, ㄷ, ㅂ로 표기하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원래는 '클라라'가 되겠지만, 한국표준법에 따라서 '글라라'가 됩니다. 같은 경우로 Petr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