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2월 31일 복음묵상 요한 1,1-18 그리스도인들을 정의할 때 자주 사용되는 구절이 바로 "우리는 말씀의 후손, 책의 종교"하는 것입니다. 하느님의 말씀을 우리 삶의 기준으로 삼고 있고, 그 말씀이 처음 계시된 아브라함으로부터, 이사악, 야곱, 그리고 다윗에서 다윗의 후손 예수 그리스도에 이르기까지, 이어져 내려오는 전통을 두고 말합니다. 그리고 이런 전통이 구전전승에서 기록전승으로 변화되었기 때문에 오늘날에 우리가 바라보고 있는 성경이 존재할 수 있게 되었다고 믿고 있습니다. 그럼 왜 하느님의 말씀이 우리의 정체성을 정의할까? 정말로 하느님의 말씀이 우리 의식을 구성하는가? 또한 하느님의 말씀이 지닌 치유와 회복의 능력을 발휘되도록 우리는 우리의 의지를 개방하는가? 여기에 대해 물어보면, 거기에는 바로 우리의 신앙유무가 자리합니다. 우리가 만약 하느님의 말씀이 어느 것보다도 더 좋고 바람직하고 믿을만한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면, 그 믿음을 통해 하느님의 말씀은 우리 영혼과 의식을 구성하고 꾸미실 것입니다. 반면에, 그냥 그런 이야기가 있고 그런 스토리가 있는 정도로만 여긴다면 하느님의 말씀은 서점에 흔하게 꽂혀 있는 여느 책 한권의 이야기에 불과합니다. 요한복음의 서두에 등장하는 '하느님께서는 원래가 말씀이셨고, 그 말씀이 사람이 되시어 우리와 함께 사셨다"는 점은 그럼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그것은 바로 우리가 얼마만큼 우리의 믿음을 주님께 보여드렸는지에 대한 질문입니다. 저 말씀을 바꿔서 말하면, '하느님께서는 원래부터 말씀이셨고, 그 말씀이 사람이 되시어 우리와 함께 사셨다는데, 우리는 그것을 믿고 살아왔는가?' 이런 만성적인 물음을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해가 저물어가고 12시간 후면 이미 새해가 도래하는데, 말씀의 후손인 우리들은 새해에 과연 얼마만큼의 믿음으로 하느님의 말씀을 긴요하게 받아들이려고 하고
작은 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순교성인관구 소속 박희전 루케시오 신부입니다. 2018년에 로마 교황청립 그레고리오 대학에서 성서신학 교수자격증(S.T.L. in Biblical Theology)을 취득하였습니다. 성경에서 나오는 여러 지혜의 말씀을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전해 드리고자 블로그를 만들어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부디 유익한 말씀들을 많이 얻어가시길 기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