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이름인 니콜라스, 니콜라오라는 이름에 대해서는 이미 다룬 바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오늘 우리가 만날 성녀 콜레타 속에 숨어 있는 의미는 이 니콜라오라는 이름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이 니콜라오라는 이름은 그리스어로 니콜라스(Νικόλαος)는 그 뜻이 한 마디로 ‘백성의 승리’(Victory of the people)입니다. 그리고 이 이름의 축약형이 바로 니콜레트, 콜레타이기에, 그녀의 이름 속에서 우리는 그녀를 통한 하느님 겸손의 승리를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성녀의 일대기 속으로 들어가 봅시다. 프랑스 북부 피카르디(Picardie) 지방 코르비에서 1381년 1월 13일에 태어난 성녀의 본명은 본디 니콜레트 부아레(Nicolette Boilet)이었습니다. 왜냐하면 아이들의 수호성인인 성 니콜라오(12월 6일)에게 기도를 해서 얻은 딸이기 때문에 니콜라우스의 여성축약형으로 니콜레트라고 이름을 지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녀의 아버지였던 로베르 부알레(Robert Boilet)는 그 지역 베네딕토회 수도원에서 목공수였기에, 그녀는 자연스럽게 어릴 적부터 수도승생활을 접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니 그녀도 어린 시절부터 수도자로서의 관심과 부르심을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녀의 나이 17세에 갑자기 양친을 잃게 되었고, 그래서 그녀는 그 베네딕토회 수도원 원장의 도움으로 잠시 다른 수녀원에 머물다가, 재속 프란치스코회원(3회원)이 되었고 1402년 9월 17일 성 프란치스코 오상축일부터는 베네딕토회 수도원 인근에 은둔소룰 짓고 은수자로서 삶을 시작하였습니다. 21살부터 그녀는 홀로 은수생활을 하였는데, 어느날 코르비의 자신의 은둔소에서 성 프란치스코의 환시를 보게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성 프란치스코는 그녀에게 환시 중에서 클라라회가 초창기 정신에 따라 살도록 개혁하라는 메시지를 성 프란치스코가 그녀에게 주었던 것을 느꼈습니다. 그래서 그 부르심에 응답하고자 자신의 은둔소를 떠났습니다. 교황 베네딕토 1...
작은 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순교성인관구 소속 박희전 루케시오 신부입니다. 2018년에 로마 교황청립 그레고리오 대학에서 성서신학 교수자격증(S.T.L. in Biblical Theology)을 취득하였습니다. 성경에서 나오는 여러 지혜의 말씀을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전해 드리고자 블로그를 만들어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부디 유익한 말씀들을 많이 얻어가시길 기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