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이름' 속에 '영성'이 있다 79] 세례명 '베난시오(Venantius)'에 담긴 어원과 영성은 무엇일까요?


이탈리아 도시 가운데 카메리노(Camerino)라는 동네가 있습니다. 그 곳에 한 귀족 가문이 있었는데, 이들은 그리스도인이 아니었습니다. 그런 그들이 성 포르피리오(Porphyry) 신부에 의해 입교하게 되었습니다. 이 포르피리오 신부는 이탈리아 움브리아(Umbria) 지방의 카메리노에서 주로 복음을 선포하고 다녔습니다. 그런 그가 로마 황제 데키우스(249-251) 시절에 참수형으로 순교하게 됩니다. 이 포르피리오 신부에 의해 그리스도교로 입문하게 된 이가 오늘 우리가 만나는 카메리노의 성 베난시오 순교자입니다. 베난시오 성인의 삶이 그리 순탄치 않았고, 엄청난 고문까지 당했는데도 왜 그는 끝까지 신앙을 지킬 수 있었을까 생각하며, 그의 이름 속에 그 충절의 씨앗이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베난시오(Venantius)라는 이름은 라틴어 동사 베노르(Venor)와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이 동사의 뜻은 영어로 “to hunt an animal, to chase a prey, to pursue, to seek or obtain, search, to find”입니다. 해석하자면, “동물사냥을 하다, 먹잇감을 쫓다, 추구하다, 찾다, 획득하다, 발견하다”라는 뜻입니다. 그러다보니까 이 동사의 현재분사인 베난스(Venans)에서 더 파생되어, “목표를 쫓는 사람, 먹잇감을 사냥하는 사람, 어떤 특정 목표를 발견하고 열렬히 추구하는 사람”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어느 순교자나 다 동일하겠지만, 베난시오 성인 순교자는 자신이 엄청난 고문을 받으면서도, 자신이 사자의 사냥감이 되는 한이 있더라도, 자신의 가문이 발견한 보물인 그리스도교 신앙을 끝까지 열렬히 추구했던 사람이기에 그의 이름에 걸맞게 살았다고 평가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카메리노의 총독인 안티오쿠스(Antiocus)는 데키우스 황제의 그리스도인 박해가 시작되었을 무렵에, 베난시오에게 그리스도를 배교하라고 강요하였습니다. 베난시오가 이를 거부하자 베난시오에게 엄청난 고문을 가하게 되었습니다. 채찍질을 하기도 하고, 불 붙은 석탄을 머리에 얹기도 하고, 치아를 뽑기도 하고 턱뼈를 부수기도 하는 등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고문을 하였습니다. 이것으로도 부족하다고 생각한 총독은 그를 매우 굶주린 사자들의 먹잇감으로 던져 넣었습니다. 그러나 성벽에서 떨어졌으나 다행히도 기도 중에 아무 곳도 다치지 않게 되었습니다. 전설에 따르면. 베난시오 성인이 박해자들의 갈증을 풀어주기 위해 바위에서 샘물이 솟게 합니다. 성인이 무릎을 꿇은 돌에 성인의 무릎의 흔적이 있었고, 거기 있던 사람들 가운데 많은 사람들이 그리스도교 신앙으로 개종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안티오쿠스 총독은 베난시오 성인이 다른 이들을 유혹했다고 비난하면서, 베난시오와 함께 10명의 사람들을 참수형으로 단죄합니다. 도시 바로 외곽에 순교터가 있었고, 나중에 성 베난시오를 기리기 위하여 대성당이 건립되었으며, 베난시오의 유물과 그의 스승 성 포르피리오의 유물이 함께 모시게 되었습니다. 베난시오 성인은 그가 개종시킨 군인들이 기쁘게 순교하도록 인도합니다. 하느님께서 그들을 무한한 기쁨과 영광의 상급으로 환영하시겠다고 말했고, 성인은 먼저 고개를 숙이고 자신을 순교의 제물로 주님께 드렸습니다. 그가 순교한 후, 안티오쿠스 총독의 집은 격렬한 지진으로 인하여 파괴되었다고 합니다. 1200년 말부터 성 베난시오는 카메리노의 수호자가 되었고, 또한 영육간의 여러 문제로 넘어진 이들을 위한 보호성인, 두통 및 이태리 마르케 지역의 청년들의 보호자로 존경을 받고 있습니다. 그렇게 베난시오 성인의 이 열렬하고도 끝까지 쫓는 충심이 바로 그의 이름 속에 ‘이미’ 안배해 있었다고 믿습니다. 지금의 삶과 신앙과 너무 대조되지 않는지 성찰해야 합니다. 감탄고토(甘呑苦吐), 즉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자기 이익을 기준으로 신앙을 취사선택하는 우리의 인색함이 성인의 열절한 신앙 앞에 부끄러워집니다.

주님께서는 의로우시어 의로운 일들을 사랑하시니 
올곧은 이는 그분의 얼굴을 뵙게 되리라(시편 11,7).

댓글

  1. 신부님 안녕하세요! 성인, 세례명 올려주시는 글을 보다가 궁금한게 있어서 댓글드립니다
    다름 아니라, 구약의 노아의 방주의 노아는 성인이 아니여서인지 .
    영명축일 찾기가 어려워서요.
    구글에 noah name day로 검색하면 11월 18일이라고 하고,
    네이버에 노아 축일로 검색하면 4월 28일
    어디서는 5월 2일이라고 해서요.
    유아 세례를 앞 두고 있는데 날짜를 언제로 적어야할지 무척 고민되어서 신부님께 도움을 요청드립니다.

    답글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이름' 속에 '영성'이 있다 29] 세례명 '율리오/율리아' 혹은 '율리안나 (율리아나)'에는 어떤 뜻이 숨어있는 것일까요?

루카복음 20장 25절의 말씀은 다음과 같습니다. 루카복음 20장 25절 말씀 형상화 "카이사라의 것은 카이사르에게, 하느님의 것은 하느님에게" 이것은 바칠 것이 있다면 그 원래의 주인에게 '되돌려드리는' 정신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더 나아가 당시 세금논쟁을 예수님과 벌이고자 하였던 로마 사람들에게 주님께서는 사실 그 카이사르의 것도 주님의 것이기는 하지만, 카이사르가 가져야할 몫을 부정하지는 않으신 것입니다. 그래서 그리스도인의 사회적 의무에 대해 긍정하면서도, 궁극적으로 신앙적으로는 모든 것을 하느님께 도로 바치는 마음가짐이 요구된다는 점을 부각시킬 때에 많이 회자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아주 흥미로운 이름이 하나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로마 공화정 시대에 실존했던 '율리우스 카이사르'입니다. 이 '카이사르'라는 말은 로마 시대의 통치자, 황제를 지칭하는 호칭이었기에, 그 이름을 지닌 사람에게는 막강한 권력이 주어져 있었던 것입니다.  더욱 흥미로운 사실은 바로 이 '율리우스(Julius)'라는 라틴어로 된 남성의 이름입니다. 원래 그리스 신화에서 최고신은 바로 제우스 (Zeus) 신입니다. 그리고 로마신화로 넘어오면, 그 신은 바로 주피터 신(Jupiter)이 됩니다. 그래서 '율리우스(Julius)'라는 이름은 바로 이 신중의 신, 왕중의 왕인 주피터 신에게 자신을 봉헌한, 자신의 모든 것을 도로 바친 남성을 두고 '율리우스'라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런 여성의 이름을 바로 율리안나(율리아나, 쥴리엔, Julien)으로 표기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로마의 최고신인 '주피터' 신에게 자신의 모든 것을 도로 바친 사람으로서, 로마공화정의 최고의 통치자로 역할을 하였던 사람입니다. 또한 반대로 '주피터' 신이 그를 통해 모든 권능을 부여한 사람...

['이름' 속에 '영성'이 있다 19] 세례명 '젬마'에는 무슨 뜻이 있는 것일까요?

술모나의 성녀 젬마 매년 5월 12일에는 이 이태리 술모나의 성녀 젬마를 기립니다. 이 젬마 성녀는 이태리 술모나 교구에 속한 고리아노 시꼴리(Goriano Sicoli)에 은둔소를 짓고 42년동안 살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동안 하느님의 은총으로 인해 성덕을 쌓았고, 성녀품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성녀 젬마 갈가니 또한 매년 4월 11일에는 이태리 토스카나 지방의 카밀리아노(Camigliano)에서 태어난 젬마 갈가니라는 여인은 예수 고난회 수녀가 되기를 희망하였습니다. 마침내 고난회의 수녀가 된 이후에, 그녀에게 많은 환시와 악마의 습격 등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는 손과 발에 뚜렷한 오상의 흔적이 나타났습니다. 그래서 그녀가 1903년 4월 11일 선종한 후, 그녀에 대한 대중신심운동이 일어났습니다. 1940년 5월 2일 교황 비오 12세에 의해 성녀품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현재 토스카나 지방의 작은 도시인 루까(Lucca)라는 곳에 있는, 성녀 젬마 갈가니 성당에 유해가 모셔져 있습니다.  이렇게 두 젬마 성녀는 교회 안에서 완덕의 대명사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 더 젬마라는 그 이름 자체에 대해 궁금증이 더해 갑니다. 과연 이 젬마라는 이름이 지니는 의미는 무엇일까요?  젬마, 즉 Gemma라는 이름은 중세 이태리에서 부르던 별명에서 기원했다고 합니다. 이 이태리식 여성이름인 젬마는 원래 뜻이 'Gem'에서 기원했다고 합니다. 영어단어인 이 'gem'의 뜻은 '보배, 보석'이라는 뜻입니다. 아주 귀중한 보석의 원석을 두고 gem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비유적으로 '자랑거리'라는 뜻도 가지게 됩니다.  이 젬마라는 이름이 탄생하게 된 배경에는 13세기의 유명한 거성(巨星)인 단테의 부인이름에서 기원했다고 합니다. 그 부인은 단테의 명성에 힙입어, 얼마나 귀하고도 보배로운 여인이었겠습니까? 그런 별명에 의해서 ...

['이름' 속에 '영성'이 있다 11] 세례명 '글라라'에는 어떤 뜻이 담겨져 있을까요?

아씨시 성녀 글라라 대성당 지하에 모셔진 글라라 성녀 유해 앞에서 프란치스코란 이름의 영성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그래서 그 이름 안에는 '자유'가 숨어있다는 사실을 잘 알았습니다. 그렇다면, 프란치스코와 항상 함께 등장하는 이름이 바로 '글라라'입니다. 아씨시의 성녀 글라라, 성 글라라 봉쇄수도원의 창립자, 전세계에서 가장 큰 여성봉쇄수도원을 지칭하는 성 글라라 수도원의 최초의 영적 어머니, 이 글라라란 이름의 뜻은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란치스코도 그러했듯이, 글라라라는 이름도 라틴어에서 유래하였습니다. 두 사람 모두 12~13세기 중세의 인물이었기 때문에, 구약의 히브리어나 신약의 그리스어가 아닌 대중적인 라틴어로부터 이름을 따왔던 것입니다. 라틴어로 보면, 이 글라라는 철자가 Clara입니다. 이는 남성형용사 Clarus의 여성형입니다. 그래서 Clara입니다. 다시 이 형용사의 뜻을 살펴보면, 'transparent, clear"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 라틴어 Clara가 스페인어로 와서는 그대로 Clara라고 표기합니다. 그리고 재미있는 것이 계란의 흰자 부분을 두고 'clara'라고 표현한다고 합니다. 투명함이 백색으로도 이어지는 것입니다. 이태리어로는 Chiara (끼아라), 프랑스어로는 Clare (끌레르), 영어로 Clare (클레어)로 표기하고 발음합니다. 독일어로는 Klara라고 하고, 참고로 독일어에서는 '설명'이라는 명사가 Erklärung이라고 하여서, 상대를 두고 명료하게 만드는 것을 두고 '설명'이라고 정의하는 독일어식 뉘앙스를 느낄 수 있습니다.  현대의 국문표준법상, 우리나라의 첫 음절은 ㅋ, ㅌ, ㅍ 등은 그보다 약한 소리인 ㄱ, ㄷ, ㅂ로 표기하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원래는 '클라라'가 되겠지만, 한국표준법에 따라서 '글라라'가 됩니다. 같은 경우로 Petr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