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성경, 알면 재미있다 1] 교회 전통 안에서 성경의 뜻을 깨닫는 네 가지 감수성들


1285년에 선종한 덴마크의 설교자회(도미니코회) 소속 아우구스티노 신부는,
성경을 읽는 네가지 감수성들(the Four Senses of Reading Bible)에 대해 라틴어 문구를 남겼습니다.


"Littera gets docet (The literal sense teaches you the narrative)
Qui creeds allegoria (the allegorical what to believe),
Moralis quid agas (the moral how to behave)
quo tendas anagogia (and the anagogical where you are going)."


위의 문구는 그리스도교 초기의 교부시절(the Church Fathers)부터 중세시대, 그리고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성경을 해석하는 표준이 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성경을 읽고 해석하는 데에 전통적으로 4가지 감각들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그것들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문자적 감수성 (Literal Sense): 표현 그대로, 성경에 쓰인 단어들이나 문장들의 문법적인 의미, 어휘의 기원을 묻고 연구하는 감각을 이야기합니다. 주로 전문적인 영역의 학자들이 많이 다루거나, 엄격주의를 표방하는 그리스도교 교파에서 이런 감수성을 많이 강조하게 됩니다.

  • 그리스도 중심주의적 감수성 (Allegorical Sense): Allegory, 즉 알레고리라는 말이 여기서는 핵심이 되는데, 그것은 직역하면 '그것 너머로'라는 뜻입니다. 다시 말해 'go beyond and go behind the written text'를 의미합니다. 더욱 심층적으로 읽기 위해 고민하라는 것인데, 여기서 '어디로' 넘어가느냐면, 바로 그리스도 중심주의적 해석으로 넘어가라는 것입니다. 구약이나 다른 성경구절들을 글자 자체로 보면 그것은 그냥 표현 그 자체이지만, '모든 것이 그리스도를 중심에 두려고 이뤄진 것'이라는 그리스도 중심주의적 신앙의 '눈'으로 해석하면 이런 알레고리적 해석이 이뤄지게 됩니다. 그리고 구약의 인물들과 사건을 신약의 인물들과 사건과 짝을 맞추는 Typology 해석도 이 감수성에 해당되며, 그 대표적 예가 옛 아담(구약의 아담)과 새 아담(예수 그리스도), 옛 하와(아담의 아내)와 새 하와(성모 마리아) 등이 됩니다. 종합하면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바라보는 해석적 감수성을 두고 알레고리적 해석 혹은 그리스도 중심주의적 감수성이라고 합니다.

  • 윤리적 감수성 (Moral Sense): 이제 그리스도 중심주의적 감수성에 의해 깊은 감명을 받은 구절이나 가르침이 있다면, 그것을 어떻게 삶으로 구현할 것인지에 대해 관심을 갖고 바라보게 됩니다. 혹은 그 이전에 성경을 두고 삶의 지침으로 삼고자 하는 경우에 이 윤리적 감수성을 두고 이야기합니다. 그리하여 성경이 단순히 읽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삶에 어떻게 투과되는지를 바라봅니다. 바로 이 단계로부터 우리는 '하느님 말씀의 육화', '하느님 말씀의 인격화'에 대해 논할 수 있습니다.

  • 순례자적 감수성 (Anagogical Sense): 이 Analogy (역: leading above)라는 감수성은, 자신의 삶이 성경에 비춰볼 때 '지금 나는 어디로 가고 있는지'에 대해 바라보는 감수성을 이야기합니다. 그리하여 하느님의 도안인 성경말씀의 시선으로 자신을 상대화하여 볼 때, 나는 어떠한 사람이고 어떤 삶을 살아가고 있는지 스스로 점검하는 그러한 감수성을 갖게 됩니다. 이는 신앙이 심화될수록, 더욱 더 이런 감수성으로 성경을 바라볼 수 있습니다. 초월적이면서 내재적인 절대자 하느님에 대한 놀라움과 경이로움을 갖은 채로, 성경말씀을 바라보면서 계속해서 성경에 몰두하게 되는 이런 감수성을 두고 아나고지적 감수성, 혹은 의역하여 순례자적 감수성이라고 합니다. '인생은 나그네'라는 자신의 주도권에서 한발 물러선 관점에서 하느님 말씀을 그야말로 수용하는 감수성을 두고 말합니다. 

많은 교우들에게 이뤄지는 사제의 강론은 위의 네 가지 전통적인 감각 가운데 어느 하나 혹은 복수의 감수성을 활용하여 이뤄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상호 배타적인 감수성이 아니라는 점에서, 성경의 뜻을 깨닫기 위해서는 관련서적들을 탐독하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그리스도교에서 가장 중시하는 '그리스도 중심주의적 신앙'을 제일 첫자리에 두면서 기도하면서 성경을 접해야 하겠습니다.

"이해하기 위해 믿으며, 믿기 위해 이해한다" (성 토마스 아퀴나스)

댓글

  1. "주님 이외에는 아무것도 원하지 않습니다."
    감사한 글 잘 보고 갑니다.

    답글삭제
  2. 아직은 잘 이해가 되지 않지만
    꼭 다시 몇 번 더 읽어 보고 싶다는
    매력을 느끼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답글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이름' 속에 '영성'이 있다 11] 세례명 '글라라'에는 어떤 뜻이 담겨져 있을까요?

아씨시 성녀 글라라 대성당 지하에 모셔진 글라라 성녀 유해 앞에서 프란치스코란 이름의 영성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그래서 그 이름 안에는 '자유'가 숨어있다는 사실을 잘 알았습니다. 그렇다면, 프란치스코와 항상 함께 등장하는 이름이 바로 '글라라'입니다. 아씨시의 성녀 글라라, 성 글라라 봉쇄수도원의 창립자, 전세계에서 가장 큰 여성봉쇄수도원을 지칭하는 성 글라라 수도원의 최초의 영적 어머니, 이 글라라란 이름의 뜻은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란치스코도 그러했듯이, 글라라라는 이름도 라틴어에서 유래하였습니다. 두 사람 모두 12~13세기 중세의 인물이었기 때문에, 구약의 히브리어나 신약의 그리스어가 아닌 대중적인 라틴어로부터 이름을 따왔던 것입니다. 라틴어로 보면, 이 글라라는 철자가 Clara입니다. 이는 남성형용사 Clarus의 여성형입니다. 그래서 Clara입니다. 다시 이 형용사의 뜻을 살펴보면, 'transparent, clear"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 라틴어 Clara가 스페인어로 와서는 그대로 Clara라고 표기합니다. 그리고 재미있는 것이 계란의 흰자 부분을 두고 'clara'라고 표현한다고 합니다. 투명함이 백색으로도 이어지는 것입니다. 이태리어로는 Chiara (끼아라), 프랑스어로는 Clare (끌레르), 영어로 Clare (클레어)로 표기하고 발음합니다. 독일어로는 Klara라고 하고, 참고로 독일어에서는 '설명'이라는 명사가 Erklärung이라고 하여서, 상대를 두고 명료하게 만드는 것을 두고 '설명'이라고 정의하는 독일어식 뉘앙스를 느낄 수 있습니다.  현대의 국문표준법상, 우리나라의 첫 음절은 ㅋ, ㅌ, ㅍ 등은 그보다 약한 소리인 ㄱ, ㄷ, ㅂ로 표기하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원래는 '클라라'가 되겠지만, 한국표준법에 따라서 '글라라'가 됩니다. 같은 경우로 Petrus,

['이름' 속에 '영성'이 있다 29] 세례명 '율리오/율리아' 혹은 '율리안나 (율리아나)'에는 어떤 뜻이 숨어있는 것일까요?

루카복음 20장 25절의 말씀은 다음과 같습니다. 루카복음 20장 25절 말씀 형상화 "카이사라의 것은 카이사르에게, 하느님의 것은 하느님에게" 이것은 바칠 것이 있다면 그 원래의 주인에게 '되돌려드리는' 정신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더 나아가 당시 세금논쟁을 예수님과 벌이고자 하였던 로마 사람들에게 주님께서는 사실 그 카이사르의 것도 주님의 것이기는 하지만, 카이사르가 가져야할 몫을 부정하지는 않으신 것입니다. 그래서 그리스도인의 사회적 의무에 대해 긍정하면서도, 궁극적으로 신앙적으로는 모든 것을 하느님께 도로 바치는 마음가짐이 요구된다는 점을 부각시킬 때에 많이 회자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아주 흥미로운 이름이 하나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로마 공화정 시대에 실존했던 '율리우스 카이사르'입니다. 이 '카이사르'라는 말은 로마 시대의 통치자, 황제를 지칭하는 호칭이었기에, 그 이름을 지닌 사람에게는 막강한 권력이 주어져 있었던 것입니다.  더욱 흥미로운 사실은 바로 이 '율리우스(Julius)'라는 라틴어로 된 남성의 이름입니다. 원래 그리스 신화에서 최고신은 바로 제우스 (Zeus) 신입니다. 그리고 로마신화로 넘어오면, 그 신은 바로 주피터 신(Jupiter)이 됩니다. 그래서 '율리우스(Julius)'라는 이름은 바로 이 신중의 신, 왕중의 왕인 주피터 신에게 자신을 봉헌한, 자신의 모든 것을 도로 바친 남성을 두고 '율리우스'라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런 여성의 이름을 바로 율리안나(율리아나, 쥴리엔, Julien)으로 표기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로마의 최고신인 '주피터' 신에게 자신의 모든 것을 도로 바친 사람으로서, 로마공화정의 최고의 통치자로 역할을 하였던 사람입니다. 또한 반대로 '주피터' 신이 그를 통해 모든 권능을 부여한 사람

['이름' 속에 '영성'이 있다 38] 세례명 '소피아' (Sophia)에는 어떤 의미가 담겨져 있을까요?

프랑스 여배우 소피 마르소 제가 어린 시절에 문방구에 가서 물건을 살 때면, 항상 저보다 더 나이가 많았던 형들이 그 문방구에서 옆의 소피 마르소의 사진으로 코팅이 된 책받침을 많이 사가는 것을 본 기억이 있습니다. 그만큼 미모가 출중하고 많은 이들의 여신으로 추앙받을 만하였기 때문이겠지요. 옆의 사진이 근래의 사진이라고 하며, 어린 시절의 전설의 사진들을 검색하여 보면, 지금 여느 아이돌을 능가할 정도의 미모를 가진 여인으로 나타납니다. 정말로 대단한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배우이기도 합니다.  그녀의 이름을 프랑스어로 표기하면 Sophie Marceau가 됩니다. 프랑스어식 발음으로 '소퓌 마~르소'가 되겠구요. 특별히 그녀의 이름인 이 'Sophie'는 서양에서는 아주 많은 이름이고, 이것은 우리가 살펴볼 '소피아'의 프랑스어식 변형이라는 점을 알아두면 흥미롭습니다. 그리고 동일한 의미를 지니는 이 이름은, 영어로는 Sophie라고 해서 불어식을 거의 그대로 이어받고, 그리스어나 독일어에서는 Sophia라고 하며, 그리고 러시아어 등의 슬라브어 계열에서는 Sofia 혹은 Sonia(소냐)라고 합니다. 그래서 슬라브계열의 여성 이름들 가운데 소냐가 많은 경우가 있는데, 이 'Sonia(Sonya)', 즉 '소냐'라는 이름은 모두가 Sophia, 즉 소피아라는 이름의 변형이라는 점을 알아두는 것도 흥미로울 것입니다. 그럼 이 소피아 혹은 소냐라는 이름이 지니는 뜻은 무엇일까요? 원래 이 이름은 그리스에서 기원한 것입니다.  Σοφια (Greek)라고 하는 여성명사에서 기원이 되었는데, '소피아'라고 읽고 그 뜻은 '지혜' (智慧,wisdom)입니다. 원래 이 소피아라는 말은 고대 그리스철학에서 자주 등장하던 단어입니다.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파르메니데스 등 고대 그리스철학자들이 그렇게 갈구하던 단어이고, 서로 저마다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