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4월, 2018의 게시물 표시

[오늘의 복음묵상] 일상에서의 영광에 대하여

부활 제4주일 요한복음 15장 1-8절 포도나무의 비유 오늘 우리가 들은 이 요한복음 15장의 포도나무의 비유는 바로 '일상에서의 영광에 대해' 강조하는 비유입니다. 왜 이 비유가 '일상에서의 영광에 대해 이야기하는 비유로 이해되는가'에 대해 한번 풀어서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열매'에 대해 굉장히 강조하는 표현들이 나옵니다. 농부이신 아버지께서 열매가 맺혀 있으면 놔두시고, 없으면 쳐내신다는 표현을 쓰면서, '열매맺음'에 대해 강조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왜 '열매맺음'에 대해 강조를 하신 것일까요? 요한복음이 쓰여진 역사적 배경을 들여다보면, 당시에는 하느님의 선택된 민족이라는 선민의식에만 도취된 유대인들이 많았고, 그들은 그저 율법규정의 준수에만 몰입하는 경향이 많았습니다. 글자 그 자체 하나하나가 하느님의 말씀이라는 믿음이 자신들을 규정하는 유일무이한 척도가 되었기 때문에, 결코 그것을 버릴 수 없었습니다. 이런 이들과 차별화를 기해야하는 그리스도교인들로서는 자연스럽게 규정과 문자적 의미에만 집착하는 이들과는 달라야 했고, '열매'라는 단어가 가장 핵심기준으로 등장하였던 것입니다. 하느님의 자녀가 된다는 것은 DNA상으로 유대인이어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는 구원보편주의를 내세우는 그리스도교인들의 공동체였기 때문에도 그런 법이 인정되었습니다.  그래서 그리스도교 신자들은 요한복음에 따르면 하느님의 법을 '믿는' 자들이 아니라, 더 나아가 하느님의 법정신 '안에' 머무는 사람들이라는 뜻을 역설하는 것입니다. 하느님의 법의 목적은 무엇입니까? 그것은 우리 자녀 인간들이 더 좋은 삶, 더 올바른 삶, 더 많은 열매를 맺는 삶을 사는 길을 걷도록 가이드하시는 것이 바로 '하느님의 법정신'입니다. 그런 정신을 이해하고 그런 정신을 실천하려고 하면서 공감해나갈 때에 이 비유의 목적이 '내 안에 더

[성경, 알면 재미있다 9] 왜 '비유' (Metaphor)가 많이 성경에 등장할까?

내 마음은 호수요 , 그대 저어 오오 . 나는 그대의 흰 그림자를 안고 , 옥같이 그대의 뱃전에 부서지리다 . 내 아음은 촛불이요 , 그대 저 문을 닫아 주오 . 나는 그대의 비단 옷자락에 떨며 , 고요히 최후의 한 방울도 남김없이 타오리다 . 내 마음은 나그네요 , 그대 피리를 불어 주오 , 나는 달 아래 귀를 기울이며 , 호젓이 나의 밤을 새이오리다 . 내 마음은 낙엽이요 , 잠깐 그대의 뜰에 머루르게 하오 . 이제 바람이 일면 나는 또 나그네 같이 , 외로이 그대를 떠나오리다 . -김동명, 내 마음은 호수요- 우리말 가곡으로도 유명해진 김동명 시인의 '내 마음은 호수요'라는 대표적 시입니다. 이 시를 두고 자주 '비유의 교과서적 텍스트'로 거명합니다. 그것도 그럴 것이 병렬적으로 'A는 B이다'라는 공식을 가지고, 여러 가지 변화를 주면서 비유에 대해 아주 드라마틱하게 잘 표현하고 있어서, 대단히 훌륭한 시적 비유를 보여주는 텍스트라고 의심없이 이야기할 수 있겠습니다.  문학과 여러 예술, 그리고 정치와 사회경제 등등 인류의 다양한 분야에서 비유는 사용됩니다. 더욱이 성경은 '비유의 보고'라고 할 수 있으며, 동시에 그 비유가 너무 난해하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또한 주변에서 속 시원하게 그 비유에 대해 설명해주는 경우를 잘 접하지 못하여서 항상 갈증이 있을 수 있고, 그래서 유사신흥교파에서 해설하는 비유풀이 (예: 신천지)에 현혹당할 수도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래서 한번 제대로 성경에서의 '비유'에 대해 고찰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대체 왜 비유가 많이 사용된 것일까? 이 비유를 해석할 때에 어떤 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것인가? 이런 류의 질문들입니다. 먼저 비유라는 말의 어원부터 봅시다. 비유라는 말은 견줄 비, 비슷할 유의 합성한자어입니다. 그래서 서로 달라보이는 것을 견주어